공항·시청 등 주요 시설 이전 영향…2025~2030년 대구 '공간 대변혁' 예상

공항·시청 등 주요 시설 이전 영향…2025~2030년 대구 '공간 대변혁' 예상

대구 동구 대구국제공항, 대구 중구 대구시청, 대구 북구 대구시청 별관(옛 경북도청).

공항 이전, 시청 신청사 건립 등으로 위치 조정을 앞두고 있는 대구의 주요 공간들.

도심의 중심이었던 곳들이 일제히 후적지 개발의 출발선에 놓이면서, 대구엔 공간 재배치와 변혁의 바람이 솔솔 불기 시작했다.

CBS노컷뉴스는 대구의 주요 후적지가 어떤 개발 과정을 거치고 있는 지 정리하고 향후 도심에 나타날 변화를 전망했다.

대구국제공항. 대구CBS 자료사진

 

◇7㎢, 방대한 규모가 최대 이점인 '공항 후적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로 빈 공간이 될 대구국제공항 부지.

2028년 군위, 의성에 새 공항이 건설된 뒤부터 새로운 시대를 맞을 공간이다.

아직은 개발 방향이 미지수인 이 곳을 어떻게 활용할 지, 그 구상이 이번달부터 본격화된다.

대구시는 최근 K-2 종전부지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해 대구경북연구원을 용역 수행 업체로 선정했다.

이 용역을 통해 종전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지 구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질 예정이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에서 제시한 내용을 취합, 검토하고 국제아이디어 공모를 진행해 우수한 의견을 수용, 발전시키는 식으로 진행된다.

국제 아이디어 공모는 다음달 초 공고가 시작될 전망이다.

기본 구상안은 용역이 끝나는 약 1년 뒤 그 형체가 드러날 예정이다. 이후 곧바로 민간사업자 공모,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수립 절차를 연이어 진행하고 공항이 이전된 뒤인 2028년 개발사업을 시행하는 것이 목표다.

대구시가 기본적으로 스마트시티, 수변도시, 신교통 수단 수용 등의 개발 방향을 전제에 깔고 밑그림을 그린다고 밝힌 가운데 대규모 산업·상업시설, 테마파크 등이 혼재된 양상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이 주목받고 있다.

부지가 워낙 넓은 만큼 단일 콘텐츠가 아닌 다양한 콘텐츠로 채워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기본 구상안을 정하고 나서 6~7년이라는 긴 시간이 지난 뒤 설계에 들어가기 때문에 그때 상황에 따라 구상안을 달리 적용해야할 수도 있다"고 여지를 열어뒀다.

또 공항을 품고 있는 동구청이 향후 어떤 의견을 개진할 지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동구는 아직까지 이와 관련해 방향성을 설정하진 않았다고 밝혔다.

대구 중구 현 대구시청사. 대구시 제공

 

◇교통과 상권의 중심, '현 시청 위치'는 어떻게 변할까

100여년 동안 현 자리(중구 동인동)를 지킨 대구시청.

대구시가 신청사를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으로 옮기기로 하면서 이곳도 이제 긴 역사를 뒤로 하고 새로운 변화를 맞이해야 한다.

대구시는 현 시청 부지 개발과 관련해서는 중구의 의견을 전적으로 존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오랜 시간 시청을 품었던 중구가 신청사 후보지에서 탈락함에 따라 주변 지역의 충격이 상당하다는 점을 배려하는 차원의 결정이다.

중구는 이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시청 후적지 개발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용역 진행율은 약 50%로 다음달 말 중간 보고회를 열 예정이다.

현재까지는 뚜렷한 밑그림이 제시되진 않았지만, 상업성과 공공성이 조화된 문화예술 공간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시민 설문조사와 전문가 의견 청취 결과 문화예술 시설로의 개발을 원하는 목소리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단순히 공공성을 띈 전시, 공연관람 공간으로 짓기엔 재정 부족이 문제인 만큼 민간 사업자와 공동 개발을 통해 수익성을 도모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시청 후적지의 청사진을 짜는 용역은 오는 연말에 종료된다. 올해 12월에는 구체적인 안이 드러날 전망이다.

실제 개발은 시청이 달서구로 옮겨가는 2025년 이후부터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옛 경북도청 터. 대구 북구청 제공

 

◇대구형 실리콘밸리 기대…도심융합특구 지정된 '도청 후적지'

경북도청 후적지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 주관 '도심융합특구'로 선정돼 개발 방향에 윤곽이 잡혔고 이제 막 밑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단계다.

지난 11일 입찰 신청을 마감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서 특구 내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지, 어떤 사업을 중점적으로 벌일 지,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지 등의 구상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대구시는 이달 중 업체를 선정해 계약을 맺고 1년 뒤 기본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도심융합특구란 도시 중심 지역에 산업, 주거, 문화 등 복합 인프라를 고밀도로 조성해 기업과 인재를 모이게 하는 곳으로, 미국으로 치면 실리콘밸리, 국내에선 '판교2밸리'가 대표적이다.

도청 후적지는 경북대, 삼성창조캠퍼스와 인접해 있고 엑스코, 금호 워터폴리스 등 배후 인프라가 충분해 도심융합특구로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대구시는 기본적으로 후적지 내에 기술혁신을 위한 핵심 인프라와 R&D시설을 만들고 500개 입주 기업 수용을 궁극적 목표로 입주 공간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1만개 창출 등 대구형 뉴딜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대구 북구도 이달 중 자체 용역을 발주하고 특구와 연계 개발할 기본계획 수립 방향을 정한다.

특구 지정에 따라 반경 2km에 드는 산격동과 침산동 일원을 어떻게 개발해야 좋을 지 모색하는 내용이다.

이 두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도 반영될 예정이다.

1년 뒤면 도심융합특구의 보다 구체적인 청사진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융합특구로의 본격 탈바꿈은 시청 신청사가 건립되고 시청 별관으로의 이용이 끝나는 시점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법원·검찰청, 대구교도소 후적지도 고민

이외에 현 범어동 법원·검찰청 부지, 달성군 화원 대구교도소 부지 등도 활용 방안을 고민할 시기다.

법원, 검찰청은 오는 2024년 연호지구로 이전하면 현 범어동 부지의 활용을 고민해야 한다.

법원 후적지는 대부분이 법무부 소유의 국유지로 정부가 개발 방향 결정의 키를 쥐고 있다.

아직까지는 관련 연구용역이 발주되진 않은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수성구가 먼저 움직이고 있다.

지난달 법원, 검찰청 후적지 개발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발주한 수성구는 올해 말까지 주민 여론조사 등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개발 방향을 제시할 방침이다.

수성구 관계자는 "법원, 검찰이 빠져나간 뒤 이 지역의 공동화를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방향성이 정해지면 정부와 대구시에 건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대구교도소는 하빈에 신축 대구교도소가 완공돼 기존 화원 교도소의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현재 화원 교도소 후적지 이용 방안에 대해선 답을 정하지 못한 상태.

국유지인 이 곳 개발권은 기획재정부가 갖고 있는데 기재부는 행복주택 등 주거 시설을, 달성군은 문화나 체육 공원 조성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성군 관계자는 "정부는 수익성 등의 측면에서 주거 시설을 지으려 하지만 우리 군 입장에서는 그동안 교도소를 품어 준 지역 주민들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공원 조성이 맞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해보면 대구는 곧 주요 거점 시설의 위치가 변하면서 도시 공간에 변혁이 일어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특히 대부분 시설의 위치 변화는 2025년~2030년 사이 비슷한 시기에 이뤄진다.

이 때문에 각각의 후적지에 어떤 시설이 새롭게 들어서냐도 중요하겠지만, 각 위치별 관계와 연관성도 도시 공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지역 혁신과 균형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각 후적지 개발 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구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