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수소경제 대전환 기본계획. 경북도 제공경북도는 25일 포항공대 포스코 국제관에서 '2023 지방시대 주도 수소경제 대전환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철우 도지사와 이강덕 포항시장, 대학총장과 기업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선포식에서 2050경상북도 수소경제 마스터플랜과 그동안의 주요 성과, 향후 중점 추진 사업 등을 발표했다.
경북도는 '수소경제 전환을 통한 지속 가능한 경상북도의 미래산업 선도'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또 3대 추진 전략을 △수소산업 경쟁력 제고 △수소생산·공급 기반 강화 △생활 밀착형 기반 확대로 정하고 15대 전략과제를 수립해 지역 간 균형 있는 수소 산업을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수소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부 전략과제로 수소연료전지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70개 기업을 유치하고, 수소 전문인력 3000명과 수소전문기업 100개 육성을 제시했다.
수소생산·공급 기반 강화 전략과제는 수소복합터미널과 수소배관망 구축 1000km,, 하이브리드 청정수소생산 30MW 등이다.
생활 밀착형 기반 확대 세부 전략과제는 수소도시 조성 10개소, 수소차 보급 1만대, 수소충전소 구축 35기 등이다.
수소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청정수소 생산벨트를 비롯해 수소 특화지구 조성, 수소전문인재 육성 벨트 등 권역별 맞춤형 수소 생태계를 조성한다.
환동해의 풍부한 에너지자원을 중심으로 한 청정수소 생산벨트는 킬로그램당 3000원의 값싼 수소 생산을 목표로 원전과 재생e를 연계한 하이브리드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한다.
미래 수소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수소복합터미널을 구축해 해외 수소 수입 유통거점으로 육성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철강·자동차 등 전통산업 재도약과 미래에너지 신산업 선도를 위해 수소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에너지분권 실현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경상북도가 반드시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