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공동대응 TF 꾸린 대구경북, 표류 중인 '통합신공항' 추진에 박차

새정부 공동대응 TF 꾸린 대구경북, 표류 중인 '통합신공항' 추진에 박차

AI로봇, 바이오 산업, K콘텐츠 육성 등 정부 계획안과 겹쳐
'선협력 후통합' 정부 기조에 발맞춤
경북도, 국립보훈요양원 유치 건의 등 추가 대응 나서

경상북도 제공경상북도 제공13일 새정부 대응 공동 협력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가장 시급한 현안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해 역량을 집중한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4개 분야, 총 21개 전략과제 중 우선 논의할 대상을 선정했는데 가장 시급한 현안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이라는 데 의견이 모였다.

그러나 이날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은 거시점 지향점과 정책, 담론을 담고 있어 공항 등 구체적인 지방 사업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12대 중점 전략과제에 '인구 위기 적극 대응'이 포함됐는데, 시·도는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의 조속한 진행이 필요한 명분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인구 위기 극복 등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미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된 만큼 '공정과 신뢰'를 국정 원칙으로 내세운 이번 정부가 시민과의 약속 이행 측면에서도 사업의 조속한 시행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할 전망이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내세운 지역 공약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이 포함돼 있다는 점도 강조할 예정이다.

TF는 공자기금 확보 또는 기부대 양여 등 적합한 재원 조달 방식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뒤 정부에 의견을 전달하고 조속한 사업 추진 필요성을 역설할 계획이다.

경상북도 제공경상북도 제공또 공항 외에 시·도가 선정한 우선 논의 대상 과제 가운데 AI로봇, 바이오 산업 등의 발전, K콘텐츠 육성이 정부의 국정 계획과 겹친다.

TF는 대구, 경북이 해당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주요 시설 유치와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

아울러 대구시의 경우 이번 TF를 이끄는 부서가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단이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의 '선협력 후통합' 기조에 맞추어 대구경북이 협력하여 지역 발전을 이끌어내는 모습을 보이려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김경수 위원장은 지역 광역화에 대해 '선협력 후통합'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국정기획위가 5개년 계획을 발표하자 경북도는 곧바로 대응에 나섰다.

이 대통령 당선 직후 발표했던 AI 산업 생태계 조성, 재난 안전 체계 전환 외에 국립보훈요양원 유치 건의, 유무인복합 전투체계 고도화 기반 구축 등의 추진 계획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혁신적인 정책으로 대한민국을 선도해 온 경북의 정책 기조와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이 상당 부분 일치하는 만큼, 경상북도의 할 일이 더 많아졌다"며 "미래를 주도할 정책과 프로젝트에 집중해 초일류국가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구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