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지역의 한 빈집. 경상북도 제공전국에 빈집 문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가 해결에 나선다.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는 19일 한국빈집관리사협회와 전국 빈집 문제해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5월 정부에서 발표한 '범정부 빈집 관리 종합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의 빈집은 총 13만 4천여 호.
이 가운데 대구 6009호, 경북 1만 5502호 등 대구·경북 지역의 빈집만 해도 2만 호가 넘는다.
저출생 고령화 기조가 심해지면서 빈집이 늘어나자, 정부도 지난해부터 행정안전부 등 4개 부처 합동으로 빈집정비 TF를 운영해 대응하고 있다.
특히 이번 협약은 인구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비수도권의 빈집 문제가 심화되면서 전국 기초단체장들도 민관협력체계 마련에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협의회는 비수도권의 경우 빈집이 늘어나 우범지대화 되는 등 치안 문제로까지 불거지면 집값이 떨어지고 지방소멸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빈집관리사협회와 협력해 빈집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빈집 정비·활용 사업을 발굴해 추진하는 등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조재구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표회장은 "빈집 문제는 지역사회의 환경과 안전, 이미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민관이 협력해 빈집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