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염색산단 악취배출량 72% 감소…악취 확산 범위도 감소

대구 염색산단 악취배출량 72% 감소…악취 확산 범위도 감소

대구염색산단 대구시 제공대구염색산단 대구시 제공대구 염색산단 악취 발생 물질 배출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악취 확산 범위가 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가 9일 발표한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합동 '대구염색산업단지 악취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염색산단 대기질 복합 악취가 지난 2020년 조사보다 25% 감소했다.

복합 악취 분석 방법은 염색 산단 악취를 직접 포집해 냄새가 나지 않을 때까지 신선한 공기로 희석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4년 전 조사에서는 악취가 사라질 때까지 4배의 공기로 희석시켜야 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희석배율이 3배로 준 것이다.

염색공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물질인 지방산도 13~82% 감소했고 염색 산단 주변 주거지역의 경우 82%나 줄었다.

사업장 조사 결과에서도 악취 배출 총량은 72%로 크게 감소했다.
 
또 주변 피해 영향지역에서 현장 후각 악취측정결과 악취감지 빈도는 7.6%(2020년 13.3%)로 43% 감소했고, 악취측정차량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발생지역에 대비해 영향지역 지방산이 32~74% 낮은 저농도로 검출되는 등 악취물질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악취확산모델링 결과 2020년에는 염색산단으로부터 2km 이상 악취(복합악취 10배)가 확산 예측됐으나, 2024년에는 100~500m 정도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돼 확산범위도 줄었다.

이번 조사는 염색산업단지 인근 주거지역의 악취민원 급증에 따라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간 대구염색산업단지 사업장과 주변 악취 영향 예상 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대구시는 염색산단 126개 사업장에 국·시비 598억 원을 지원해 노후 대기오염방지시설을 첨단 방지시설로 교체한 결과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87%나 개선되는 등 소규모사업장 대기오염방지시설 교체지원 사업이 악취 저감에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악취관리지역에 대해 사업장 집중 관리, 분류식 관거 정비 등 하수구 관리, 환경기초시설 기술진단 결과 반영, 악취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나설 계획이다.
 
권오상 대구시 환경수자원국장은 "염색산단 악취배출사업장 점검 강화와 더불어 금번 염색산단 일원에 대한 악취실태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악취저감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올해 내실 있는 악취실태조사 실시와 사업장 악취저감 조치를 차질 없이 이행 완료해 시민의 생활환경 보전을 위한 악취저감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서구지역의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2024년 6월 염색산업단지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했으며, 이에 따라 2024년 12월까지 128개 전 사업장에 대한 악취배출시설 설치신고를 완료한 바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구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